Skip Navigation
Skip to contents

자주 묻는 질문들

현재 페이지 경로
  1. HOME
  2. 질문게시판
  3. 자주 묻는 질문들
2022년) 시설 및 장비 평가
  • 대한소화기내시경연구재단
  • 2022년 06월 08일 09시 57분 00초
  • 7,047
첨부파일(0)

닫기

★시설 및 장비

 

응급 구호 장비 및 환자 감시 체계: 심폐소생술과 응급처치에 필요한 응급 약품 등을 구비한 응급 카트를 구비하고 정기적으로 관리하여야 한다.
Q1.
응급 카트는 응급의약품 및 처치를 할 수 있는 장비 및 의료용품을 이동하여 사용하기에 어려움이 없는 카트도 인정 가능한가요? 아니면 규격화된 응급 카트만 인정이 되나요?


A1. 
응급 카트에는 후두경, 기관지 삽관용 튜브(또는 후두마스크), 제세동기, 승압제, IV 세트 등을 구비하고 있어야 하고규격화된 카트는 아니더라도 전용으로 사용하는 카트가 있어야 하며, 이동이 가능해야 합니다.
--------------------------------------------------------------------------------------------------------------
Q2.
정기적인 관리는 자체적으로 관리 후 장부를 작성해야 하는 것인지, 약국에서 점검을 받았다는 장부가 있어야 하는 것인지요?


A2. 
약국에서 점검 받는 내용이 있어도 되고 자체적으로 정기적으로 관리하는 장부 등이 있어도 됩니다.
--------------------------------------------------------------------------------------------------------------
응급구호장비

Q3. 회복실 침상마다 옥시미터, 혈압기, 산소공급장치가 있어야한다고 규정되어 있습니다. 혈압기의 경우 반자동혈압기나 수동혈압기도 가능한가요? 산소공급장치의 경우 벽으로 공급되는 산소공급장치가 구비되어 있어야 하나요?

 

A3. 혈압 측정기로 자동 혈압기만 인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실질적으로 수동 혈압기를 사용하는 경우 주기적으로 혈압을 측정할 수 있는 인력은 마련되어야 합니다.

산소공급장치는 산소가 급격히 소모될 수 있는 이동식 산소공급장치의 사용은 권고하지 않습니다.

--------------------------------------------------------------------------------------------------------------

응급 카트

Q4. 제세동기도 필수사항인가요? 자동식 제세동기와, 반자동식 제세동기도 가능한가요?

 

A4. 제세동기는 응급 카트에서 구비되어야 할 필수 장비입니다. 자동식과 반자동식에 대한 구분은 하지 않습니다.

--------------------------------------------------------------------------------------------------------------
내시경 및 부속기구 : 내시경 시술과 관련된 부속 기구 기록을 보관해야 한다.
Q5.
내시경 부속 기구 기록이라 함은 거래 기록인지, 아니면 부속기구에 대한 설명 기록인지 궁금합니다.


A5. 
부속 기구 기록이라 함은 부속 기구 거래 기록이나 관리 장부 (사용량, 재고량, 보관상태, 유통 또는 사용 기한) 등의 기록을 말합니다.
--------------------------------------------------------------------------------------------------------------
Q6.
부속기구의 범위는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인가요?

A6. 병원에서 사용하는 내시경과 관련된 부속기구를 말하는데, 조직 겸자 (포셉), snare, 지혈 기구 등 내시경 관련 기구를 말합니다. 기구의 종류보다는 기구를 거래하고 관리하는 장부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중요합니다.

--------------------------------------------------------------------------------------------------------------

시설 및 공간: 진정내시경을 시행하는 경우, 환자 회복을 위한 검사실과 독립된 공간이 있어야 한다.

Q7. 독립된 공간이란 꼭 벽으로 된 구조물로 이루어져야 하나요? 커튼, 파티션, 폴딩도어 등으로 독립된 공간을 만들어도 되는지요?


A7. 
검사실은 오염된 공간으로 보호자나 환자에게 감염을 초래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그러므로 회복실은 검사실과 벽으로 천장까지 분리된 독립된 공간이어야 합니다. 검사실에서 내시경 검사 외에 다른 진료 활동이나 설명이 이루어져서는 안 됩니다. 검사실 내에 커튼이나 파티션을 이용해 공간을 분리하는 것은 독립된 공간으로 인정되지 않습니다. 회복실이 벽으로 구분되지 않더라도, 각 검사실 자체가 사방으로 벽과 문으로 구분되어 있고 그 바깥에 마련된 회복실의 경우에는 검사실과 독립된 공간으로 인정하고 있습니다.
--------------------------------------------------------------------------------------------------------------

Q8. 검사실 안에서 커튼이나 칸막이로 공간을 구분하여 내시경 후 결과 상담이 가능한지?

 

A8. 우수내시경실 인증 지침서에는 내시경실 내에 환자 상담을 위한 공간이 있어야 하며,

커튼이나 칸막이로 구분되어 있는 경우에도 인정이 가능하다고 되어 있습니다.

--------------------------------------------------------------------------------------------------------------

Q9. 우수내시경실 인증제 시설 및 장비평가 항목 중 내시경 검사를 위해서 "내시경실에 화장실이 설치되어야 한다."는 내용이 있는데, 화장실이 꼭 내시경실 안쪽에 위치해야 하는지, 아니면 같은 층에만 있어도 충족 요건이 되는지 궁금합니다.

 

A9. 화장실이 내시경실 혹은 내시경센터 내에 위치하면 인정 가능합니다. 도면을 바탕으로 내시경 수검자의 동선을 파악하였을 때, 내시경 검사복을 입고 화장실을 이용 시 다른 환자들과 동선이 겹치게 된다면 기준을 만족하기 어렵습니다.

--------------------------------------------------------------------------------------------------------------

Q10. 탈의실이 내시경실 내에 있지 않고, 같은 층에 있습니다. 이럴 경우 인정이 가능한가요?

 

A10. 탈의실은 "내시경실 내"로 규정하고 있어, 내시경실 밖에 위치한 탈의실에 대해서는 인정이 어렵습니다. 내시경 검사복은, 다른 검사복과 달리, 신체의 민감한 부위가 노출될 수 있어 내시경실 내에 탈의실이 있어야 합니다.

--------------------------------------------------------------------------------------------------------------

내시경실 퇴실 전 안정 및 회복 공간 확보를 권장한다.

Q11. 진정 검사를 받은 환자의 회복 후, 또는 비진정 검사를 받은 환자가 어지럼증 등으로 인해 내시경실 퇴실 전 쉴 공간이 필요할 때 내시경실의 검사 전 준비 공간에 준비된 환자 대기 공간 또는 회복실에서 더 쉴 수 있도록 조치하고 있는데, 이것도 가능한 것인지요? 혹은 따로 별도의 공간이 준비되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A11. “내시경실에 퇴실 전 안정 및 회복이 필요한 환자를 위한 회복 공간 확보를 권장한다.” 는 시설 및 공간의 권장 항목입니다. 지침서에서 평가하는 것은, 진정 여부에 관계없이 안정 및 회복이 필요한 환자의 퇴실 전 회복 공간이 (환자대기 공간이나 회복실 외에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면 권장항목으로서 인정하고 있습니다.

--------------------------------------------------------------------------------------------------------------

재단법인 대한소화기내시경연구재단

서울시 마포구 양화로 156, 819호(동교동, LG팰리스 8층) Tel. 02-3142-1552 Fax. 02-335-2690 Mail. ksge5@gie.or.kr